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html input
- html input tag
- tensorflow
- html태그정리
- Raid
- Ubunrtu
- html환경구축
- 라즈베리파이
- RIAD0
- Linux
- RAID개념설명
- raspberrypi
- C언어
- 다항회귀
- ubuntu18.04
- jupyter
- 개념설명
- 멀티캐스트
- multicast
- 삼성sw역량테스트b형
- 웹페이지 기본
- TensorflowServer
- CSS
- docker
- HTML예제
- 코딩테스트후기
- HTML
- 삼성SW역량테스트
- RAID구축
- 다항회귀예제
- Today
- Total
목록Raid (2)
Easy ways
갑자기 하드 디스크 2개가 주어지며 파일 서버를 구축해야 할 일이 생겨서 이런 저련 자료 모으던 와중 Raid의 개념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방향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 글을 남깁니다. 미래의 제가 모두 까먹을 경우를 대비해 상세하게 풀어볼 예정입니다. RAID 란?? RAID는 HDD 와 같은 저장 장치를 보다 효율적/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술입니다. 가령 RAID 0는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의 하드 디스크처럼 동작하도록 만듭니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를 읽고 쓸 때에 분산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되므로 속도가 상당히 향상됩니다. RAID 1은 2개의 디스크에 동일한 내용을 복제하는 것으로 갑자기 발생한 재앙에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이외에도 여러가지 RAID가 존재하지만 주..
요즘 빅데이터 시대가 열리며 데이터의 가치가 올라가면서 서버의 중요성도 함께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선 거의 필수적으로 저장장치가 필요하죠 (HDD나 SSD) 저장장치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하면 더 안전하게 데이터를 저장하고 더 빠르게 읽고 쓸 수 있을까요? 그리하여 고안된것이 RAID입니다. RAID란?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또는 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s의 약자로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입니다. (디스크 어레이라고도 부릅니다) RAID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묶어 사용하는 겁니다.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중복시켜..